화성학연구소 연구위원
부서 | 성명 | 소속 및 직위 | 담당 분야 |
---|---|---|---|
화성학연구소 | 심일종 소장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연구소 운영 총괄 |
정찬모 부소장 | 화성시지역학연구소장, 화성문화원 이사 | 지역 실무위원 총괄 | |
한동민 위원 | 화성시독립기념관 관장 | 지역학·독립운동사 분야 | |
김덕묵 위원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수 | 민속기록 분야 | |
최종성 위원 |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역사·종교 분야 | |
이관준 위원 |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수 | 문화관광콘텐츠 분야 | |
박재형 위원 |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 | 학술·향토문화 분야 |
제2장 자연지리 명칭 제1절 산이름 11. 장안면(長安面)
카테고리
화성의 지명유래
작성자
화성문화원
작성일
2025-04-11
조회
24
11. 장안면(長安面)
○ 남산(南山) : 장안면 어은리에 있는 산으로 마을의 안산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예전 쌍부현(雙阜縣) 시절에 부(府)의 남쪽에 있는 산이라 붙여진 이름이라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 당산(堂山) : 장안면 장안리에 있는 산으로 예전에 이 산에 당(堂)집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 무봉산(舞鳳山) : 장안면 석포리에 있는 산으로 산 정상의 모양이 멀리서 보면 봉황(鳳凰)이 춤을 추는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상잠산(桑蠶山) : 장안면 장안리에 있는 작은 야산으로 산줄기의 흐름이 흡사 누에가 기어가는 형국이고 마을 역시 뽕나무밭의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하는데 지금은 산의 모습은 거의 사라지고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 소남산(小南山) : 장안면 사랑리에 있는 산으로 마을 사람들은 남산이라고 부르며 작은 남산이란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하는데 서울이나 큰 도시의 남산처럼 마을을 지켜준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예전 쌍부현(雙阜縣) 시절의 안산인 남산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한다.
○ 남산(南山) : 장안면 어은리에 있는 산으로 마을의 안산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예전 쌍부현(雙阜縣) 시절에 부(府)의 남쪽에 있는 산이라 붙여진 이름이라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 당산(堂山) : 장안면 장안리에 있는 산으로 예전에 이 산에 당(堂)집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 무봉산(舞鳳山) : 장안면 석포리에 있는 산으로 산 정상의 모양이 멀리서 보면 봉황(鳳凰)이 춤을 추는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상잠산(桑蠶山) : 장안면 장안리에 있는 작은 야산으로 산줄기의 흐름이 흡사 누에가 기어가는 형국이고 마을 역시 뽕나무밭의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하는데 지금은 산의 모습은 거의 사라지고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 소남산(小南山) : 장안면 사랑리에 있는 산으로 마을 사람들은 남산이라고 부르며 작은 남산이란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하는데 서울이나 큰 도시의 남산처럼 마을을 지켜준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예전 쌍부현(雙阜縣) 시절의 안산인 남산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