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연구소 연구위원
부서 | 성명 | 소속 및 직위 | 담당 분야 |
---|---|---|---|
화성학연구소 | 심일종 소장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연구소 운영 총괄 |
정찬모 부소장 | 화성시지역학연구소장, 화성문화원 이사 | 지역 실무위원 총괄 | |
한동민 위원 | 화성시독립기념관 관장 | 지역학·독립운동사 분야 | |
김덕묵 위원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수 | 민속기록 분야 | |
최종성 위원 |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역사·종교 분야 | |
이관준 위원 |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수 | 문화관광콘텐츠 분야 | |
박재형 위원 |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 | 학술·향토문화 분야 |
제2장 자연지리 명칭 제1절 산이름 13. 태안읍(台安邑)
카테고리
화성의 지명유래
작성자
화성문화원
작성일
2025-04-11
조회
15
○ 귀봉산(龜峰山)〔구봉산〕 : 태안읍 병점리에 있는 산으로 산의 형태가 거북이가 기어가는 형국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 성진산(城陳山) : 태안읍 송산리에 있는 산으로 화산의 주봉(主峰)이 있다. 화성(華城)의 진산(鎭山)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1,530년(중종 25)에 발간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산천」조 기록에 의하면 발점산(鉢岾山)이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의 진산으로 표시되어 있고, 1794년(정조 18)에 발간된 『수원부읍지』와 1831년(순조 31)에 발간된 『화성지』에는 체점산(體岾山)이 부의 진산이라 표시되어 있는데 모두 같은 산으로 보인다.
○ 성황산(城隍山) : 태안읍 송산리 용주사(龍珠寺) 뒷산으로 예전에 성황당(城隍堂)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임금(황제)의 무덤이 있는 산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 청명산(淸明山) : 태안읍 영통리에 있는 산으로 최근 수원시에 편입된 산이다. 산에 오르면 멀리까지 맑게 잘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화산(花山) : 태안읍 송산리에 위치하며 꽃뫼의 한자식 표현이다. 예전 수원부 읍치(邑治)시절의 진산이었고, 정조 때인 1789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현륭원(顯隆園)이 조성되면서 유명해졌다. 이듬해 용주사가 중창되고 정조 사후 건릉(健陵)이 만들어지면서 국가적 관리의 대상이 되었다. 화산은 화(華)산으로도 쓰는데, 화(華)는 화(花)와 서로 통하여 쓰기 때문이다.
○ 성진산(城陳山) : 태안읍 송산리에 있는 산으로 화산의 주봉(主峰)이 있다. 화성(華城)의 진산(鎭山)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1,530년(중종 25)에 발간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산천」조 기록에 의하면 발점산(鉢岾山)이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의 진산으로 표시되어 있고, 1794년(정조 18)에 발간된 『수원부읍지』와 1831년(순조 31)에 발간된 『화성지』에는 체점산(體岾山)이 부의 진산이라 표시되어 있는데 모두 같은 산으로 보인다.
○ 성황산(城隍山) : 태안읍 송산리 용주사(龍珠寺) 뒷산으로 예전에 성황당(城隍堂)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임금(황제)의 무덤이 있는 산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 청명산(淸明山) : 태안읍 영통리에 있는 산으로 최근 수원시에 편입된 산이다. 산에 오르면 멀리까지 맑게 잘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화산(花山) : 태안읍 송산리에 위치하며 꽃뫼의 한자식 표현이다. 예전 수원부 읍치(邑治)시절의 진산이었고, 정조 때인 1789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현륭원(顯隆園)이 조성되면서 유명해졌다. 이듬해 용주사가 중창되고 정조 사후 건릉(健陵)이 만들어지면서 국가적 관리의 대상이 되었다. 화산은 화(華)산으로도 쓰는데, 화(華)는 화(花)와 서로 통하여 쓰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