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연구소 연구위원

부서 성명 소속 및 직위 담당 분야
화성학연구소 심일종 소장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연구소 운영 총괄
정찬모 부소장 화성시지역학연구소장, 화성문화원 이사 지역 실무위원 총괄
한동민 위원 화성시독립기념관 관장 지역학·독립운동사 분야
김덕묵 위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수 민속기록 분야
최종성 위원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역사·종교 분야
이관준 위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수 문화관광콘텐츠 분야
박재형 위원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 학술·향토문화 분야

제2장 자연지리 명칭 제3절 들이름

카테고리
화성의 지명유래
작성자
화성문화원
작성일
2025-04-11
조회
21
1. 남양동

○ 능안들 : 능골에 있는 들이다.
○ 오리장들 : 오리장 앞에 있는 들이다.
○ 운동터 : 남양동에 있는 들로 운동회를 하였다.
○ 원두루짓들 : 원두르지 앞에 있는 들이다.
○ 큰둑들 : 남양동에 있는 들로 큰 둑이 있다.
○ 큰묘앞들 : 남양동에 있는 들이다.

2. 동탄면

○ 벌들 : 동탄면 신리 앞의 들판으로 마〔萬〕내가 흐르고 있는데 만의산에서 발원한 개천이 흐르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마내들이라고도 부른다.
○ 산척들 : 동탄면 산척 저수지 일대의 들이다.
○ 영천들 : 오산천의 동탄면 일대의 영천리, 오산리, 방교리 일대의 들판으로 영천리 앞의 들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영(永)평야 : 동탄면 영천리 앞에 있는 들판으로 길고 넓은 평야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1899년에 간행된 『수원군읍지(水原郡邑誌)』에도 표기되어 있다.

3. 마도면

○ 벗개 : 두곡리에 있는 들로 염밭이 있었다.
○ 비아목 벌 : 비아목 앞에 있는 들이다.
○ 선가리 : 석교리에 있는 들로 맨 먼저 봄갈이를 하였다.

4. 매송면

○ 만드기들 : 만드기 앞에 있는 들이다.

5. 봉담읍

○ 동화들 : 봉담읍 동화리 일대와 수영리 비봉면 삼화리 일대의 들이다.
○ 장안뜰〔장내평야(場內平野)〕 : 봉담읍 내에 있는 들판으로 조선시대에는 이 지역이 장시(場市)가 섰던 안쪽의 뜰이라 해서 장안뜰(場內坪)에서 전음되어 장안뜰로 불리어졌다고 전해진다.

6. 송산면

○ 고랏들 : 육일리에 있는 들이다.
○ 군들 : 육일리에 있는 들이다.
○ 굼들 : 육일리에 있는 들이다.
○ 동냇들 : 동냇재 밑에 있는 들이다.
○ 두계잇들 : 육일리에 있는 들이다.
○ 문산들 : 문산과 사강리 바깥사강에 걸쳐 있는 들이다.
○ 소랫들 : 육일리에 있는 들이다.
○ 앞고랏 : 삼존리에 있는 들이다.
○ 앞들 : 육도리 앞에 있는 들이다.
○ 앞사래 : 삼존리에 있는 들이다.
○ 장승배기 : 삼존리에 있는 들로 장승이 박혀 있었다.
○ 한틀 : 삼존리에 있는 큰 들이다.
○ 남양염전(南陽鹽田) : 송산면 삼존리, 용포리, 고정리에 걸쳐 있는 염밭이다.

7. 서신면

○ 미닷들 : 상안리에 있는 들이다.
○ 배진갯들 : 상안리에 있는 들이다.
○ 큰들 : 상안리에 있는 큰 들이다.

8. 양감면

○ 넛들 : 대양리에 있는 들이다.
○ 왜미 : 대양리에 있는 들이다.

9. 우정면

○ 조암들(조암평야) : 우정면 조암리, 이화리 일대와 장안면의 노진리, 장안리 일대의 넓은 들이다.

10. 장안면

○ 들너비 : 장안면 석포리의 들로 예전에는 들이 넓다고 하여 야광(野廣)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넓은 들이란 뜻에서 연유한다고 전한다.
○ 장안들 : 장안면 장안리 앞의 들로 어은천이 흐르고 있다.

11. 정남면

○ 능세이들 : 정남면 신리에 있는 들판으로 예전에는 산기슭의 논이었으나 개간하여 산능세이에 들판이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고 전한다.
○ 발산들 : 황구지천의 하류인 정남면 일대의 괘랑리, 용수리, 발산리, 귀래리와 양감면의 용소리 일대의 들판을 말하는데 발산리 앞에서부터 시작하는 들판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보통들 : 정남면 보통리 일대의 들판으로 들이 넓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 샌님들 : 정남면 발산리에 있는 들로 예전에 이 들판을 관리하던 사람이 생원이어서 마을에서는 샌님이라 부르고 들도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 왕산벌 : 동탄면 방교리 앞의 넓은 들판을 말하는데 왕배산 앞에 있는 들판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진토리들 : 정남면 발산리에 있는 들로 들의 흙이 아주 좋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12. 태안읍

○ 병점들 : 황구지천이 흐르는 태안읍 반정리, 진안리, 안녕리, 병점리 일대의 비옥한 들이다. 병점리 앞의 들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3. 팔탄면

○ 구장들 : 팔탄면 구장리 일대의 발안천 상류가 이룩한 들판이다.
○ 자안들 : 팔탄면의 자안천이 흐르며 만든 하저리와 율암리 사이의 넓은 들판을 이르는 말이다.

14. 향남면

○ 남녘들 : 향남면 관리에서 발안들을 부르는 이름으로 남녘에 펼쳐진 들판이란 뜻에서 부르는 이름이라고 전한다.
○ 발안들(발안평야) : 발안천이 형성하는 넓은 들로서 제암리 구문천리 일대의 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 오성들(평택평야) : 향남면 관리천과 평택시 진위천이 합류하는 서탄면 오성면으로 이어지는 평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