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화성불교문화유적 학술발표회

작성자
화성문화원
작성일
2025-04-13
조회
10
18-04-06 16:47

 

2회 화성불교문화유적 학술발표회

 

 

 

 
취지화성의 역사적 인물 및 향토유적향토사료 등을 조사 발굴하여 그들의 숭고한 정신과 업적을 선양하고또 학술발표회를 통하여 연구대상의 역사성과 학문적 타당성을 검증 발표함으로써 화성의 역사적 인물이나 향토유적향토사료 등의 홍보와 더불어 대중화에 기여하고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고자 함.
 

 

 

 

◇ 사업개요

○ 일 시 : 2018년 4월 7(오후 1~오후 6

○ 장 소 서화성농협 대강당 (화성시 비봉면 양로리 소재)

○ 대주제 정신문화 유산으로서의 원효사상과 화성 당성

○ 주 최 화성문화원(원장고정석)

○ 주 관 한국불교문인협회(회장선진규)

(연락처김재엽 사무총장 010-5212-4514)

○ 후 원 화성시한국불교학회

 

 

 

 

화성 당성(당항성)은 1971년 4월 15일 대한민국 사적 제 217호로 지정된 지 금년(2018)으로 47주년을 맞이하는 바 여러 의미를 접어두고라도 원효대사(617~686)가 이곳 당성 부근에서 중국 당나라 유학길에 해골물을 마시고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 세상사 모든 것이 마음먹기에 달렸다라며 크게 깨달아 유학을 포기하고 귀향하여 신라불교를 중흥시킴으로써 종교적으로나 문화사적으로도 매우 의미 깊은 곳이다.

특히 지난해 4월 22일에 원효대사 탄신 140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된 『제1회 화성불교문화유적 학술발표회』에서 불교성지로서의 화성 당성’(기조강연-선진규)이 크게 부각되었으며원효사상 연구의 최고 권위자 고영섭(동국대교수의 제1주제 논문 원효의 오도처와 화성의 당항성 관계사 고찰은 학계에서도 대단한 반향을 불러일으켜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어 당사자인 우리 화성시로서는 대단한 성과라 하겠다게다가 한국불교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김용표(동국대교수의 제2주제 논문 원효의 화회사상과 평화교육은 당대는 물론 현실적인 동북아 평화를 위한 기본사상으로서또 문화콘텐츠 실무 전문가 이재수(동국대교수의 제3주제 논문 원효대사 관련 설화와 문화콘텐츠 개발화는 향후 관광자원으로서의 당성 개발에 이정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대단한 의미제고와 함께 성과 또한 크다고 하겠다.

이런 점에서 향후 지속적으로 원효의 깨달음(오도지)으로 시작되는 이곳 당성의 연관성이 어떤 의미인지더불어 시공간적으로 고증을 더한 본격적인 연구를 거쳐 성역화 하는 것도 화성시나아가 경기도 차원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요컨대 지난해 4월 22일의 1회 화성불교문화유적 학술발표회에 이은 지속사업으로 금년 4월 14일에도 규모를 내실 있게 확대하여 국가 사적지로 지정된 날짜(4월 15)를 즈음하여 제2회 학술발표회를 개최하게 되었다학술발표자도 1인 더 늘리고 논평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객관성을 높이고자 각각의 주제논문에 논평자도 2인체제로 확대하였다.

그리하여 원효 전기 자료를 재검토(정희경)’하고, ‘원효의 오도처인 화성 당성이 삼국시대에 차지하는 지정학적 위상(윤명철)’을 고찰하며, ‘원효의 정토사상과 대중불교의 현대적 의의(김경집)’를 분석한 뒤 현대문학 속의 원효(백원기)’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하여 심도 있게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원효사상과 화성 당성의 존재성을 제고시키고 나아가 관광지로서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를 축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 학술발표회 프로그램

 

 

 

 

◆ 참가자 등록 (식전행사, 12:30- 13:00)

 

 

◆ 제1부 개회식 (13:00-13:30)

사회김재엽(한국불교문인협회 사무총장)

 

 

개회사선진규(한국불교문인협회 회장봉화산 정토원장)

 

 

축 사고정석(화성문화원 원장), 채인석(화성시장

 

 

발표자 소개

 

 

진행안내

 

 

 

 

◆ 제2부 학술발표회 (13:40-18:00)

사회김재엽(한국불교문인협회 사무총장)

좌장김용표(종교학박사동국대 명예교수)

 

 

기조강연선진규(봉화산 정토원 원장)

 

 

1주제원효 전기 자료의 재검토 (13:40-14:30)

발표자정희경(철학박사동국대 불교대 강사)

논평자1: 김영일 (철학박사동국대 불교대 연구교수)

논평자2: 오대혁(문학박사동국대 교수)

 

2주제원효의 오도처 화성 당성삼국시대 지정학적 및 사상적 위상

(14:30-15:20)

발표자윤명철(역사학박사동국대 다르마칼리지 교수)

논평자1: 김성태(고고학박사경기문화재단 수석연구원)

논평자2: 고영섭(철학박사동국대 교수)

 

 

(휴식, 20분간)

 

 

3주제원효의 정토사상과 대중불교그 현대적 의의 (15:40-16:30)

발표자김경집(철학박사진각대 교수)

논평자1: 백도근(철학박사전 영남대 연구교수)

논평자2: 김동률 (문학박사전 숭실대 겸임교수)

 

 

4주제현대문학 속의 원효 (16:30-17:20)

발표자백원기 (문학박사동방문화대학원대 교수)

논평자1: 김운향(문학박사국제PEN 한국본부 이사)

논평자2: 한용국(문학박사서울교대 강사)

 

 

*종합토론 및 방청객 자유토론:

좌장 김용표(동국대 명예교수(17:20-17:40)

*총평선진규(한국불교문인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