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연구소 연구위원
부서 | 성명 | 소속 및 직위 | 담당 분야 |
---|---|---|---|
화성학연구소 | 심일종 소장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연구소 운영 총괄 |
정찬모 부소장 | 화성시지역학연구소장, 화성문화원 이사 | 지역 실무위원 총괄 | |
한동민 위원 | 화성시독립기념관 관장 | 지역학·독립운동사 분야 | |
김덕묵 위원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수 | 민속기록 분야 | |
최종성 위원 |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역사·종교 분야 | |
이관준 위원 |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수 | 문화관광콘텐츠 분야 | |
박재형 위원 |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 | 학술·향토문화 분야 |
제1장 개관 제2절 문헌자료로 보는 화성과 수원의 지명
카테고리
화성의 지명유래
작성자
화성문화원
작성일
2025-04-11
조회
46
각종 지명을 수록해 놓은 문헌자료를 지리지(地理志)라 부른다. 지리지는 국가에서 주관한 관찬(官撰)과 개인이 주관한 사찬(私撰)으로 구분되나 그 범위가 전국적일 때는 역시 관찬 지리지에 더 신빙성이 주어진다. 관찬 지리지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것이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地理志)」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는 삼국사기 총 50권 중 제 34권부터 37권까지 4권에 들어가 있는데 여기서 34권~36권은 신라, 37권은 고구려·백제의 지명이 수록되어 있어 수원, 화성 지역은 이 37권에 해당한다. 『고려사(高麗史)』 『 지리지(地理志)』는 고려사 137권 중 56권~58권의 3권으로 되어 있는 바 고려가 건국된 918년부터 멸망한 1392년까지의 500여 년 간의 지명을 담고 있다. 또한 그 이후의 자료인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는 1432(세종 14)에 편찬된 『신찬팔도지리지(新撰八道地理志)』의 내용 중 그 이후에 변동된 사항만을 추가하여 세종실록을 편찬할 때 그 부록으로 편입시킨 것이다. 이상 세 지리지에 수록된 화성 및 수원 지역의 지명으로는 매홀군(買忽郡)과 당성군(唐城郡), 그리고 상홀군(上忽郡)이 언급되어 있는데 그 주요 부분만을 초록해 보면 다음과 같다. |
1. 『삼국사기(三國史記)』「지리지(地理志)」 | ||||||||||||||||||||||||||||||||||||
水城郡 本 高句麗 買忽郡 景德王改名 今水州 唐恩郡 本 高句麗 唐城郡 景德王改名 今復故, 領縣二 車城縣 本 高句麗 上(一作 車)忽縣 景德王改名 今龍城縣 振威縣 本 高句麗 釜山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買忽 一云 水城 唐城郡 上忽 一云 車忽 釜山縣 一云 松村活達
水原都護府 本 高句麗 買忽郡 新羅改爲 水城郡… 屬縣五 雙阜(右六浦), 永新(一號 永豊), 貞松 (右松山部曲), 龍城(上忽縣, 車城, 唐恩郡領), 廣德… 南陽都護府 本 高句麗 唐城縣 新羅改爲 唐恩郡 高麗復古名 顯宗戊午 屬水州 任內後移屬 仁 州…… 이상의 기록을 검토해 보면 『고려사』나 『세종실록』은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을 기반으로 하여 약간의 행정구역상의 변동사항만을 추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기록을 토대로 하여 화성(華城) 및 수원(水原) 지역의 고지명을 사료별, 시대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1. 화성·수원 지역의 고지명 ]
![]() [사진-2. 서신 왕모대 포구 (2002) ]
뒤에 다시 설명되겠지만 매홀(買忽)은 고유어 ‘골'로서 물이 많은 물골〔水邑〕과 같은 말로 쓰인 것 같다. 혹은 ‘매'(買)를 산(山)의 뜻으로 보는 이도 있으나 어떻든 ‘물'이란 말은 어두에 올 때는 그 어형을 달리하는 예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물의 뜻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당성(唐城)은 당시 중국 당(唐)나라와의 교류에서 생긴 것으로 처음부터 한자지명으로 붙어진 것이라 생각된다. 다만 당성군에 속했던 용성현(龍城縣)은 상홀(上忽) 또는 차홀(車忽)또는 차성(車城)으로 차자표기된 것으로 당시에는 ‘수리골' 정도로 불리었으리라 생각된다. ‘수리'는 정수리〔頂〕에서 보듯 꼭대기, 으뜸을 뜻하는 고유어로서 이는 주변에서 가장 큰 마을[首邑, 혹은 大邑)을 지칭할 때 쓰는 이름이다. 이들 개개의 지명어원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출처 화성시사(2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