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연구소 연구위원
부서 | 성명 | 소속 및 직위 | 담당 분야 |
---|---|---|---|
화성학연구소 | 심일종 소장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연구소 운영 총괄 |
정찬모 부소장 | 화성시지역학연구소장, 화성문화원 이사 | 지역 실무위원 총괄 | |
한동민 위원 | 화성시독립기념관 관장 | 지역학·독립운동사 분야 | |
김덕묵 위원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수 | 민속기록 분야 | |
최종성 위원 |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역사·종교 분야 | |
이관준 위원 |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수 | 문화관광콘텐츠 분야 | |
박재형 위원 |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 | 학술·향토문화 분야 |
[보물 제980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카테고리
화성의 보물 · 문화재
작성자
화성문화원
작성일
2025-04-11
조회
55

종 목 | 보물 제980호 |
---|---|
명 칭 |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
수량/면적 | 1구 |
지정(등록)일 | 1989.04.10 |
소 재 지 | 경기도 화성시 주석로80번길 139 (남양읍, 화성봉림사) |
시 대 | 고려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봉림사 |
관리자(관리단체) | 봉림사 |
봉림사 법당에 모셔져 있는 목불좌상으로 1978년 불상 몸에 다시 금칠을 할 때 발견된 기록을 통해 고려 공민왕 11년(1362)을 하한으로 아미타불상이 조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얼굴은 단아하고 엄숙한 표정이며 무게있는 몸은 단정하고 앞으로 약간 숙여져 있다. 양 어깨를 감싸 흘러내린 옷은 가슴에서 매는 띠매듭이 사라지고, 3줄의 옷주름이 묘사되어 특징적이다.전체적으로 고려 후기를 대표할 만한 뛰어난 작품이다.